본문 바로가기

SETTING

AWS 프리티어 계정인데 과금된 이유 feat.퍼블릭 IPv4

 

 

최근에 aws 프리티어 계정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배포 작업을 진행했다

그런데 갑자기 요금을 납부하라는 메일이 왔다..!

난 분명 프리티어 계정으로 진행중이고 만든지 얼마 안된 프로젝트라 용량도 크지 않은데..

 

우선 어디서 비용이 청구되었는지 알아보자

 

빨간박스를 보면 ec2가 아닌 또다른 퍼블릭 IP가 사용되고 있었고 이것에 대한 비용이 청구되고 있었다

 

 

어떤 것이 public IP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AWS 콘솔 > VPC IP Address Manager > 퍼블릭 IP 인사이트 > 퍼블릭 IP주소 섹션 확인

 

 

지금은 삭제되어서 안보이지만 위의 EC2 public IP제외하고 RDS관련 public IP가 또 존재하고 있었다 ㅜㅜ

 

이전에 rds만들 때 내 로컬 피시의 디비 툴에서도 rds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public access를 허용했었는데 

그게 비용을 청구할 줄은 몰랐따..

 

 

그렇다면 더이상의 비용 청구를 막기 위해 rds 의 public access를 막아보자

 

 

AWS 콘솔 > RDS > 데이터베이스 > db 선택 > 오른쪽 위 수정 버튼 클릭

밑으로 내리다보면 연결 섹션의 추가구성 드롭박스를 열어 퍼블릭 엑세스 불가능을 선택해준다  

 

 

그리고 다시 VPC IP Address Manager 를 확인해보면 ip가 ec2 한개만 존재하게 될것이다

 

 

변경된 부분이 반영하는데 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는 듯 하니 맘 편히 기다리자!

 

 

 

끄읏 -!